개설목적
- 청소년의 바람직한 성장을 지원하는 청소년전문가 양성
- 다양한 이론과 실천방안에 근거한 청소년 지도, 보호·복지 및 상담 역량 함양
- 청소년 자녀에 대한 부모의 전문적인 지도능력 배양
- 청소년 진로, 학습, 생활, 인간관계 등에 대한 이론과 실제 탐구
교육내용
분야 | 해당 교과목 |
---|---|
청소년교육 일반 | 청소년교육개론,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시민교육론, 사회적역할의이해, 청소년문화, 인터넷생활윤리, 사회조사방법론, 인간관계론, 청소년인권과참여 |
청소년 활동‧지도 분야 | 청소년리더십개발, 청소년학습이론및지도, 직업세계와직업정보, 청소년활동론, 청소년지도방법론, 레크리에이션활동지도, 청소년프로그램개발및평가, 자원봉사론, 청소년교육현장의이해, 청소년기관현장실습 |
청소년 보호‧복지 분야 | 학교교육과청소년,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학개론, 청소년문제,청소년육성제도론, 지역사회복지론, 청소년복지론 |
청소년 상담‧심리 분야 | 발달심리, 부모교육과상담, 청소년상담, 청소년심리, 청소년인성교육, 집단상담의기초, 청소년성교육과성상담, 청소년진로지도및상담, 심리검사및측정, 가족상담및치료 |
졸업 후의 진로
청소년교육복지상담학과를 졸업하게 되면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전문적으로 도울 수 있는 청소년교육 전문가로서 다음과 같은 분야에 진출하여 활동할 수 있습니다.
- 청소년지도사: 청소년센터(청소년 수련관, 수련원, 청소년 문화의 집 등)에서 청소년 활동, 지도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
-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상담복지센터,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학교 상담실 및 기타 상담기관 등에서 상담관련 업무를 수행
- 보호·복지 전문가: 청소년쉼터, 교육복지센터, 청소년자립지원관, 청소년회복지원시설 등에서 청소년의 문제 상황 전환 업무를 수행
- 청소년 학습·진로 지도 전문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대안학교, 지역아동센터 등에서 청소년 학습 지도업무를 수행
- 대학원 진학: 청소년 관련 특정분야나 주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
- 청소년교육전문강사: 성교육, 인성교육, 진로교육, 학교폭력예방교육 등 전문 영역에서 교육 활동을 수행
- 지역사회·마을 교육 전문가: 지역사회·마을 교육 장면에서 청소년들과 함께 다양한 사회 참여와 꿈찾기, 길찾기, 진로교육 활동 수행
청소년교육복지상담학과는 청소년들이 직면하게 되는 진로, 학습, 생활, 인간관계, 청소년 문제 등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이론탐구, 이론에 근거한 지도방법의 정립과 지도기능의 숙달, 이론과 실천을 겸비한 유능한 청소년교육자 양성, 청소년 자녀에 대한 부모의 전문적인 지도능력 배양 등을 목적으로 개설되었습니다.
청소년교육과의 교육내용은 교육기초영역(교육의 이해/교육철학/교육심리학)과 청소년 이해영역(청소년교육개론/청소년심리/청소년문화/청소년문제/청소년환경론), 청소년 교육 내용영역(인간관계론/인적자원개발론/시민교육론/사회적 역할의 이해/직업과 윤리/ 청소년인권), 청소년지도자교육영역(청소년지도방법론/청소년육성 제도론/청소년활동론/ 레크리에이션활동지도/청소년프로그램개발 및 평가/청소년지도·상담실습), 청소년 부모교육영역(청소년학습이론 및 지도/청소년과 부모/청소년진로지도), 청소년상담영역 상담이론 및 실제/발달심리/집단상담의 기초/가족상담 및 치료/심리측정 및 평가), 청소년복지영역(청소년복지/자원봉사론/아동복지/인간행 동과 사회환경(한국사회문제/사회복지실천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