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번호
756619

[중앙일보] "누구에게나 열린 배움의 길…AI로 '맞춤형 교육복지' 실현"

작성자
김수연
조회수
1016
등록일
2025.06.13
수정일
2025.06.13

[중앙일보"누구에게나 열린 배움의 길…AI로 '맞춤형 교육복지' 실현" [고성환 방송대 총장]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상당수 국내 대학들이 신입생 모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한국방송통신대학교(방송대)의 상황은 다르다. 한때 ‘중장년층의 재교육 기관’이란 통념이 있었지만, 최근엔 2030세대의 유입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올해(2025학년도) 재학생 약 9만 명 중 2030의 비율이 43%에 이른다. 특히 컴퓨터과학과의 경우 재학생 80% 이상이 20·30대 학생이다.


10일 오전 서울 동숭동 대학본부에 만난 고성환 방송대 총장은 “이제는 학교의 이름값보다 무엇을 배우느냐가 젊은 세대에게 중요한 가치가 됐다”면서 “시간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송대의 강점이 2030과 잘 맞아떨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음은 고 총장과의 일문일답.


Q : 방송대로 향하는 젊은 세대가 늘고 있다.

A : 요즘 20대는 실용성과 효율성을 중시한다. 시간을 자산처럼 여기는 세대다. 학업과 일을 병행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 실무 중심의 커리큘럼, 합리적인 학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방송대를 선택한다. 굉장히 영리한 선택이다. 이제는 기업도 학교 이름보다 실무 역량을 더 중요하게 보고 사원을 채용하는 시대다. 이런 흐름 때문에 방송대가 매력적인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여기에 AI(인공지능) 기술까지 접목되면서 ‘맞춤형 교육’의 가능성도 열리고 있다. 그동안 방송대가 안고 있던 대량 교육의 한계를 AI가 보완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 질이 높아지면서 젊은 세대의 유입도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Q : 구체적으로 AI를 어떻게 도입하는가.

A : 방송대는 대규모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이다. 한 강의를 (일반 대학처럼) 20~30명이 아니라 수천 명이 수강하는 경우도 많다. 기존 수업은 콘텐트를 제공한 뒤 (온라인) 게시판에서 질의응답을 주고받는 수준이었다. 학생이 기말고사에서 80점을 받으면 B학점을 주고 말았다. 학생이 실제로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어려워하는지 정밀한 진단은 불가능했단 얘기다. 하지만 AI가 도입되면 달라진다.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분과 적분은 잘하지만 인수분해에 약하다’는 식의 분석이 가능하고, 그에 맞는 추가 학습 콘텐트나 과목을 추천할 수 있다. 현재 방송대는 이러한 AI 기반 맞춤형 학습 시스템인 ‘AIDU(AI Digital University)’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Q : AI 교육도 방송대의 역할이라고 했는데.

A : 이제는 국민 누구나 AI에 대한 기본 소양을 갖춰야 하는 시대다. 정부가 지역거점 국립대 9곳에 AI 단과대학 설립을 검토 중인데, 이는 고등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전문 인력 양성 과정이다. 하지만 이런 전문 인재 양성과는 별도로, 전 국민이 AI를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 방송대는 50시간, 100시간 등 단기 수료 중심의 실용적인 AI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이런 수요를 충족시킬 계획이다. 기초 과정을 통해 흥미를 느낀 학습자들은 학위나 대학원 과정으로 자연스럽게 진입할 수 있다. 방송대는 이미 전국 단위의 방송 인프라와 모바일 교육 플랫폼을 갖추고 있어, 이같은 실용 교육을 제공하는 데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 정부가 이처럼 잘 갖춰진 인프라를 가진 방송대를 더 적극적으로 교육 도구로 활용했으면 좋겠다.


관련된 내용은 아래 해당 기사가 게재된 링크를 통해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기사 원문 보기]

(클릭)중앙일보-"누구에게나 열린 배움의 길…AI로 '맞춤형 교육복지' 실현" [고성환 방송대 총장]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